건강정보/의약계 이슈

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약국 내 행동지침

유신약사 2015. 6. 2. 19:08

 

중동호흡기증후군이 점차 확산되는 경향이 보이면서

어제부터 갑자기 위기감이 도는 것 같습니다.

인천시 약사회에서 내려온 행동지침인데요.

아무리 눈씻고 보아도 며칠 전에 내려온 지침과 별반 다를 것이 없네요.

 

다만 신고채널이 생겼다는 것...

 

관할 보건소나 핫라인.. 043- 719-7777입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관련 약국 내 행동지침]

 

대약456호 공문관련

메르스 관련 약국 행동지침 및 대국민 대응 요령을 안내하오니 참고 바랍니다.

 

 

 

**약국 행동 지침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MERS-CoV)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

 

 

□ 감염경로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음

-단, 사우디아라비아 내 단봉낙타접촉에 의한 감염전파가 보고되고 있으며, 사람 간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 가능

 

 

□ 임상적 특성

-대부분 환자가 중증급성하기도질환(폐렴)이나 일부는 무증상을 나타내거나 경한 급성상기도질환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주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그 외에도 두통, 오한, 인후통, 콧물, 근육통뿐만 아니라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

-합병증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 다발성 장기부전 등

  * 신부전을 동반하는 급성 신부전 동반 사례가 사스보다 높음

-기저질환(당뇨, 만성폐질환, 암, 신부전 등)이 있는 경우와 면역기능 저하자는 MERS-CoV 감염이 높고 예후도 불량

 

 

□ 잠복기

-5일(최소 2일 ~ 최대 12일),

 

□ 치명률

-30% ~ 40%

* 예방 백신 및 치료제 없음

 

 

□ 신고요령

-신고처 : 관할 보건소 및 핫라인(043-719-7777)

 

 

 

 

약국 내 감염 예방 수칙

○ 환자 투약‧상담 및 복약지도 이후 반드시 손씻기 또는 손 소독 시행

* 비누로 충분히 손을 씻고 비누가 없으면 알콜 손세정제를 사용

○ KF94(N95) 이상의 호흡마스크 착용

 

 

 

 

 

**대국민 대비·대응 요령

 

1. 메르스 예방 수칙

○ 메르스는 일상적인 활동 중에는 감염되지 않으니 일반 국민들은 과도한 불안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 다음 일반적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비누로 충분히 손을 씻고 비누가 없으면 알콜 손세정제를 사용합니다.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가급적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 기침과 콧물, 호흡곤란, 발열 등의 감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 합시다.

  마스크가 없는 경우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휴지는 반드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합니다.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가급적 피하고,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 방문은 가급적 자제해 주시기 바라며,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은 가급적 중동지역 방문을 자제하시고,

  여행, 출장 등으로 불가피하게 중동을 방문할 경우 농장 방문이나 동물과의 접촉(특히, 낙타)을 삼가시기 바라며,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낙타 우유 등의 섭취를 삼가시기 바랍니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나, 기침을 하는 사람과의 접촉 시에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2.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요령

○ 메르스 확진환자와 밀접 접촉을 한 적이 있거나, 최근 중동지역을 방문한 사람의 경우,

  2주일 이내에 발열(37.5℃ 이상), 기침, 호흡곤란 등의 감기 증상이 나타나면 메르스를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 메르스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거주지 보건소 또는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으로 연락하십시오.

  상담 후 안내 받은 절차에 따라 조치하시면 됩니다.

○ 메르스 의심환자로 판단될 경우, 보건소 전용구급차로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 메르스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부득이하게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의료기관에 도착 후

  메르스가 걱정되어 진료를 받으러 왔다는 사실을 바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보건당국의 역학조사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역학조사는 메르스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고 접촉자를 찾아내어 격리를 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기 때문에

  역학조사관에게 가능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자가격리 대상자 대응요령

○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마지막 날로부터 14일간 자가격리를 합니다.

  이는 본인 뿐만아니라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하고도 불가피한 조치이니 충실히따라 주십시오.

○ 격리기간 동안 보건소 담당요원이 1일 2회 이상 메르스 의심증상 발생 여부와 건강상태를 가정방문 또는 전화를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 집에서 격리를 하는 동안 생활 요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다른 가족 또는 동거인과 2m 이내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전용 물품(개인용 수건, 식기류, 휴대전화, 체온계 등)을 정하고 본인만 사용하십시오.

  ∙ 가능한 경우 별도의 방과 화장실을 이용하시고 식사는 따로 하십시오.

  ∙ 화장실을 같이 사용해야 한다면 다른 가족이 먼저 사용한 후 이용하시고

    화장실을 이용한 후 락스 등 살균세제를 1:10 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접촉한 화장실내 장소를 청소하여 주십시오.

  ∙ 격리기간 동안 아침, 저녁으로 37.5℃ 이상의 체온, 호흡기증상(기침, 호흡곤란), 소화기증상(매스꺼움, 구토, 설사 등) 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할 경우 지체없이 보건소 담당요원 또는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또한 격리기간 동안 가족 또는 동거인은 자가격리를 받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주십시오.

 

 

 

4. 중동호흡기증후군 신고 방법

○ 신고처 : 관할 보건소

○ 신고시기 : 지체없이

○ 신고방법 : 관할 보건소로 우선 신고, 감염병 발생 신고(보고)서 작성 후,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등의 방법으로 신고

 

 

 

 

 

일반적으로 사람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영양소는

미네랄, 고단위 비타민 B군, 고단위 비타민 C, 프로폴리스, 에키네시아 추출물, 올리브잎 추출물,

삼부커스 시럽, 비타민 D, 유산균, 유산균 배양물 등의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평소 건강관리를 잘 해오신 분이라면 크게 걱정하실 것은 없어보이지만,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시고,

깨끗한 수분 섭취와 고른 영양소 섭취, 운동, 개인 위생관리,

밝고 건강한 마음을 가지기에 좀 더 신경을 쓰시면 좋겠습니다.

 

참... SNS에 떠돌고 있는 바셀린 요법은

그냥 민간요법일 뿐 검증되지 않은 방법이니 너무 과신하지는 않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건강정보 > 의약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 호흡기 증후군 (메르스) 관련 지침  (0) 2015.05.29
피지오머 관련 논란  (0) 20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