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건강관리

안구 건조증이 있다면

유신약사 2015. 7. 29. 18:38

안구건조증은 어떤 질환인가요?

 

우리의 눈은 눈물이 적당하게 흘러 윤활작용을 해 주어야 따갑거나 불편한 증상을 느끼지 않고,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눈물은 단순히 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지방층, 수성층, 점액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쉽게 눈물이 증발하는 것을 막고 수분을 잘 공급하며 눈물이 눈에 잘 머물러 있도록 합니다.

이 세가지 층의 밸런스가 잘 맞아야 눈물층이 안정적으로 되어

눈물이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쉽게 증발해 버림으로 인해 불편증상을 일으키는 안구 건조증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생기면 눈이 자주 시리고,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꺼끌거린다거나, 충혈되고, 건조감,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바람이 불면 갑자기 주체할 수 없이 눈물이 흐른다거나, 심한경우 두통을 느끼기도 합니다.

안구건조증은 가장 흔한 안과질환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많이 생기는 노인성 질환이지만,

흡연이나 장시간 독서,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장시간 보고있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면 눈물의 생산이 감소하기 때문에 노인들에게 잘 생기고,

여성은 임신과 출산, 폐경, 수유등의 호르몬 변화를 겪으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피임약이나 항우울제, 항 히스타민제, 항불안제, 이뇨제, 혈압약등의 약물에 의해서도 유발되기도 합니다.

쇼그렌 증후군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도 눈물의 생성 능력이 떨어지고,

안면마비나 갑상선질환에서도 안구건조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런 안구건조증을 예방하려면

★ 독서등의 집중을 요하는 일을 할 때에는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거리도록 합니다.

★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을 되도록 자제하고, 50분 사용후 10분정도의 휴식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 과도한 눈화장은 피합니다.

★ 충분한 수면을 취합니다.

★ 물을 자주 마셔 체내에 수분 공급을 충분히 해 줍니다. 이 때 미네랄제를 같이 드시면 좋습니다.

★ 흡연을 하지 않습니다. 흡연자의 옆에 있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 커피나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가급적 마시지 않습니다.

★ 실내 습도를 60%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기를 자주 합니다.

★ 눈에 좋은 베타카로틴이나 안토시아닌이 많이 들어있는 컬러푸드를 즐겨 드시면 좋습니다.

 

 

안구건조증이 생겨서 불편하시다면 자신에게 잘 맞는 인공누액제를 구입하여 자주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인공누액제를 사용할 때에는 소프트렌즈는 잠시 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인공 누액 점안 후 15분정도 지난 후 다시 착용하도록 합니다.

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같은 병을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여러가지 안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5~10분의 간격을 두고 점안하여야 하며

인공누액제는 맨 마지막에 사용하도록 합니다.

인공누액이 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른 약제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은

비타민 A나 베타카로틴이 많이 든 달걀 노른자, 버터, 치즈, 당근, 시금치, 간, 뱀장어, 고구마, 호박, 부추, 토마토,냉이

안토시아노사이드가 많이 들어있는 빌베리, 블루베리, 라스베리, 체리, 가지, 검은콩, 적포도, 크렌베리등이 있습니다.

또 눈에 좋은 차로 결명자차, 감잎차, 구기자차, 산딸기차, 질경이차 등이 있습니다.

 

'건강정보 >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내 유산균 균형  (0) 2015.07.30
땀 억제제에 관하여  (0) 2015.07.29
폐경 검사  (0) 2015.07.29
활성산소에 관하여  (0) 2015.07.29
역류성 식도질환 관리  (0) 2015.07.29